공자님의 일기장에 써있는 20가지 명언
1
► 覺人之詐, 不形於言, 受人之侮, 不動於色.
각인지사, 불형어언, 수인지모, 부동어색
남의 거짓을 알아차렸어도 이를 입밖에 내지 않고,
남에게 수모를 당해도 얼굴에 드러내지 않는다.
2
► 顧小利, 則大利之殘也.
고소리, 즉대리지잔야
작은 이익를 돌보면 큰 이익의 방해가 된다.
3
► 見小利, 則大事不成.
견소리, 즉대사불성
조그만 이익을 보려고 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4
► 見義不爲, 無勇也.
견의불위, 무용야
의로운 것을 보고 행하지 않음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5.
► 寬則得衆.
관즉득중
너그러우면 대중을 얻게 된다.
6
► 口乃心之門, 守口不密, 洩盡眞機.
구내심지문, 수구불밀,설진진기
입은 마음의 문이다.
입을 엄중히 다스리지 않는다면 진기(참된 기틀)가 새어나간다.
7
► 君子居安宜操一心以慮患, 處變當堅百忍以圖成.
군자거안의조일심이려환, 처변당견백인이도성
군자는 평안할 때 마음을 단단히 먹고 후일의 후환을 생각하며,
변을 당했을 때에는 꾸준한 인내로써 후일의 성공을 도모해야 한다.
8
► 君子不器. (군자불기)
군자는 한정된 그릇이 아니다.
9
►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군자탄탕탕, 소인장척척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군자는 마음이 평탄하고 여유가 있으며, 소인은 항상 근심 걱정에 차 있다.
10.
► 君子貞而不諒.
군자정이불량
군자는 올바른 도리를 따르고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다.
11
► 君子泰而不驕.
군자태의불교
군자는 태연하면서도 교만하지 않다.
12
► 躬自厚, 而薄責於人,則遠怨矣.
궁자후, 이박책어인, 즉원원의
자책하는 것을 후하게 하고 남을 책하기를 적게 한다면
사람들의 원망이 멀어질 것이다.
13
► 極高寓於極平,至難出於至易, 有意者反遠, 無心者自近也.
극고우어극평, 지난출어지이,유의자반원, 무심자자근야
지극히 고상한 것은 지극히 평범한 것 속에 깃들고,
매우 어려운 것은 매우 쉬운 것 속에서 나온다.
뜻이 있는 자는 오히려 도리에 멀고,
무심한 자는 절로 도리에 가깝다.
14
►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내가 하기를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15.
► 樂處樂非眞樂, 苦中樂得來, 纔見心體之眞機.
낙처락비진락, 고중낙득래, 재견심체지진기
즐거운 곳에서의 즐거움은 진정한 즐거움이 아니며,
고행 가운데 얻는 즐거움이라야
비로소 몸과 마음의 진기(眞機)를 찾아볼 수 있다.
16
► 大巧無巧術, 用術者乃所以爲拙.
대교무교술, 용술자내소이위졸
큰 기술은 잔재주를 부리지 않는다.
재주를 부리려는 생각이 바로 졸작을 만드는 원인이다.
17
► 多藏者厚亡, 故知, 富不如貧之無慮.
다장자후망, 고지, 부불여빈지무려
많이 가진 자는 많이 잃는다.
그러므로 부유하다는 것이
아무것도 잃을 걱정이 없는 가난보다 못함을 알아야 한다.
18
► 當與人同過, 不當與人同功, 同功則相忌.
당여인동과, 부당여인동공, 동공즉상기
남과 더불어 실수에 대한 책임을 함께 지는 것은 괜찮지만
공을 함께 하지 마라.
공을 함께 하면 서로 미워하게 된다.
19
► 毋恃久安, 毋憚初難.
무시구안, 무탄초난
오래 계속되는 안정을 믿어서는 안 되며,
초기의 어려움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20.
► 母以己之長而形人之短, 毋因己之拙而忌人之能.
무이기지장이형인지단, 무인기지졸이기인지능
자신의 장점으로써 남의 단점을 두드러지게 하지 마라.
또한 자신이 졸렬하다고 해서 남의 능력을 시기하지 마라.
'삶 이야기(건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의샘물 : 삶의 교훈】 (0) | 2021.03.09 |
---|---|
♡"잃은것 과 있는것"♡ (0) | 2021.03.09 |
♥우리나라 분야별 최고 명의 총정리♥분야별 우리나라 최고의 명의들 총 정리 저장해 두셨다가 위급 시 참고하세요. (0) | 2021.03.07 |
지혜롭게 상황을 모면한 거지 소녀 (0) | 2021.03.07 |
ᆢ모셔 온 글ᆢ ?장수 비결? (0) | 202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