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 노후(老後)에 눈물은 모두 내 탓
평균수명(平均壽命)이 늘다보니 노인(老人) 문제(問題)가 심각(深刻)해졌다.
모두들 부모(父母) 모시기를 힘들어 하고 사회(社會)가 복잡(複雜)해질수록
노인 문제로 자식(子息)들이 재산(財産)은 공평(公平)하게 상속(相續)되는데
어찌 장남(長男)만 부모를 책임(責任)져야하는 가 불평(不平)이다.
요즘 부모님 모시는 것을 귀찮다는 젊은이들의 행위(行爲)는
자식들을 왕자(王子), 공주(公主)로 키운 부모에게도 책임이있다.
자식 키울때 자식 비위(脾胃) 맞추기에 혼신(渾身)의 힘을 다한 부모는
결국(結局) 자식들의 하인(下人)이 되는 원인(原因)이 됐다.
자랄 때,
부모 공양법(供養法)을 모르고 대접(待接)받는 법만 배운 아이가
어른이 되어서 어찌 부모 공양(供養)을 할 수가 있겠는가?
그래서 요즘 사랑방 노인들이 하는 이야기 속에 답이 있다.
"제대로 가르치지도 못했는데 효자(孝子)란 말이여!"
자식 가르치려고 모든 것을 팔아 뒷바라지해서
의대(醫大)를 졸업(卒業) 시켰건만 며느리가
이유를 붙여서 부모를 안 모신다고 하니
골방 얻어주고 개밥 주듯 생활비(生活費) 기십 만원
주면서 집에도 못 오게 하는 세상(世上)이라
양로원(養老院)에 가는 시대(時代)란다.
어쩌다 며느리에게 전화(電話)하면
시어머니에게 노후준비(老後準備) 문제(問題)를 따져댄다.
"아들 의사(醫師) 만들었지"하면 대답(對答)은 부모로써 학비(學費) 대는 것,
당연(當然)한 것 아니냐고 반문(反問)하는 며느리!
힘없는 노인은 기죽을 수밖에 없다.
다시 산다면 다시는 그런 짓 않겠단다.
부모들은 훗날을 위해 자식들에게 모든 것을 바쳐 뒷바라지 한다.
아들이 가문(家門)의 영광(榮光)이며 우리 집 기둥이라고 하면서!
하지만 그기둥이 부모를 배신(背信)한다.
대접(待接)만 받은 기둥이 부모 모시는 법을 안 배웠으니
부모 공경(恭敬)할 줄 모른다.
자식들이 불효(不孝)로 내 몰리고 있는 일부는 부모의 몫이다.
부모가 변화(變化)에 대한 준비(準備)를 했다면 불효란 말이 있겠는가?
부탁하는데,
자식은 적성(適性)을 봐 가면서 힘대로 키우고
내 몫은 꼭 챙겨야 한다는 사실(事實)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글을 읽고 미친 소리라고 생각이 들거들랑
기록해 두었다가 훗날 정답(正答)과 맞춰 보시기 바란다.
노후에 눈물은 왜 흘리나?
왕자 공주가 부모 모시는 법을 모르고 컸다면 그 책임(責任) 누구에게?
두말 할 것 없이 부모가 하인(下人)의 법을 안 가르친 책임을 지게 된다.
까마귀도 어미가 늙어 힘 못쓰면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고사성어(故事成語)의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말이 있다.
내자식 미국 유학(留學) 학비(學費) 대느라 이 생명(生命) 다바쳐
일한 후에 훗날 남는 것 없이 빈손이라면 당신의 잘못이다.
무슨 죄(罪)냐고요?
고급(高級)스런 자식 집에 가보면 당장에 그답(答)을 알 수있다.
멋쟁이 며느리로 부터 손자(孫子)들 까지 당신의 초라(綃羅)한 모습 싫어한다.
밥 한끼 얻어먹는 것도 눈총 속에,
아이들 공부에 방해(妨害) 된다고 골방에..
차라리 못 가르친 놈하고 윽박지르며
싸우는 편이 더 인간(人間)답 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요즘 노인(老人)들이 후회(後悔)하는 것
첫 번째: 평생가질 수 있는 ‘취미’가 없는 것이었다.
취미는 여가시간에 즐거움을 가지기위해 자주하게되는 흥미로운 일이다.
또는 그런 일에 대한 흥미자체이기도하다.
노인들에게 가장 무서운 적은 그래서 무료함이다.
할일없이 지루한 것,
그게 바로 무료이며 무료는 사람을 지치게 하고
빨리 늙게 하며 죽음을 재촉한다.
몰입할 수 있는 취미가 있으면 긴장된 삶을 살 수 있고
깊은 즐거움과 함께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건강해진다.
그러니 더디 늙게 되고 마음이 즐거우니 하루하루가 보람이 있는것은
물론이며, 그 취미생활도 계속 발전해 전문가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사실 그건 놀라운 신세계이기도 하다.
인간의 삶에서 취미가 중요한 게 그 때문이다.
노인이 된 후 새로운 취미를 가지는 일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나 취미는 이미 젊었을 때부터 가지고 있어야하며
그게 그대로 노년으로 이어지는 게 가장 바람직스럽다.
이세상엔 생각보다 무미건조하게 사는 사람들이 많다.
남아도는 시간을 주체하지 못하는 부류도 있다.
삼겹살에 소주마시고 노래방 가는 게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게 전부라면 가망이 없다는 얘기다.
건전하고 길게 갈 수있는 취미를 가지는 것은
연금에 가입하는 것 이상의 깊은 뜻이 있다.
같은 취미라도 젊어서는 쉽게 하지만 노인이 되면
힘들어서 못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취미의 선택은 신중해야하며 노인이 된 후에도
쉽게 할 수있는 것으로 선택해야 된다.
테니스 같은 격렬한 운동은 젊어서는 계속할 수 있지만
노인이 되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속성을 가질 수 있는 취미중 하나가 악기다.
악기가 좋은 점은 결정적으로 치매
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 때문이다.
그게 어떤 악기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두 번째: 가족들과의 대화부족이다.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가정이 하숙이된지 오래다.
일찍 나오고 밤늦게 들어가니 가족들의 얼굴보기도 힘들다.
직장에서의 잔업보다는 퇴근 후의 술자리가 문제다.
그 판에 끼지 않으면 소외되고 승진에도 영향을 주는 게 잦은 회식이다.
울며겨자 먹기로 함께 앉아 있는 불쌍한 사람들도 많다.
저녁시간을 철저히 가족들과 지내는 서구 선진사회가 부러운게 그 때문이다.
가족들과 지내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 은퇴 후 집에 게 될때
‘이방인’취급을 받을 각오를해야 된다.
아무리 부부라해도 갑자기 하루종일 얼굴을 마주하고 있으면
서로가 아주 심한스트레스를 받는 게 현실이다.
오죽하면 은퇴한 남편을 ‘젖은 낙엽’이라고 했겠는가?
대화가 부족하면 이해가 부족해지고
이해가없으면 소통이 안 되는게 인간관계다.
가족이라해도 예외일수가 없다.
그래서 평소의 가족간대화가 중요하다.
은퇴 후의 생활을 위해서도 이 문제는 꼭 해결해야 된다.
일주일에 하루라도 반드시 가족들과 함께 식사도하고 화제를 준비,
많은 대화를 나누어야한다.
시험을 준비하는 자녀일지라도 이런 기회에는 모두가 참여해야 의미가 있다.
세 번째가: 돈이다.
사실 돈 문제는 첫 번째 이상으로 중요한 문제이기도하다.
2014년을 기준할 때,
중산층 정도의 노년생활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최소한 1인당 월 100만원은 있어야한다.
부부만 산다해도 월 200만원은 있어야된다.
이미 은퇴한 대부분의 부부가 수령하는
국민연금은 평균월 60만원 정도다.
노후를 위해 꼭 필요한 저축을 못하는 가장 큰이유가 자녀양육비,
그리고 결혼비용이다.
수입자체가 빠듯하다보니 충분한 저축을못하고 저축이 부실하니
노년이 어려운건 당연한 결과다.
사실은 정말 돈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는 노년기다.
돈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수 가없다.
오죽하면 ‘죽은 목숨’ 이라고 하겠는가?
늙어서 돈 고생 안하려면 몇 가지 원칙에 충실해야 된다.
우선 저축부터하고 돈을 써야 한다.
노년이 되어 큰 불편 없이 살려면 수입의 30%는 꾸준히 저축해야 옳다.
따라서 자녀의 사교육비는 최소한으로 제한해야하며
학비지원도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로 못박아야한다.
특히 결혼,집장만에 돈을 내주면 안된다.
그건 부모자식이 같이 망하는 길이다.
이제는 학벌학력사회도 한물가고 있으며 한번 백수가 되면 헤어나지 못한다
때문에 자녀의 학비는 신중히 생각해서 지원해야 되며 제한적이어야 한다.
'듀오휴먼라이프‘의 조사는 현재 결혼적령기에 있는
젊은이들의 평균 결혼비용을 2억5천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 비용의 대부분은 거품과 낭비이며 허례허식이다.
이런 잘못 된 결혼문화에 편승할 필요는 없다.
이제는 과감히 이런 악습을 버려야한다.
모든 젊은이들이 제 분수
에맞는 실속있는 결혼문화가 정착될 때도 됐다.
거기에는 젊은이들 결단과 용기가 필요하다.
네 번째가: ‘건강관리’다.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건강관리는 건강할 때 시작해야 된다는 점이다.
그 하나가 젊었을 때부터 ‘걷기운동’을 시작,
늙어서도 계속하는 케이스다.
나이들어 새로 시작할 수 있는 운동은 거의 없다.
오죽하면 ‘생로병사’라고 했겠는가?
인간은 건강을 잃으면 다잃는 것이다.
병들고 아프면 세상 모든것이 소용없다.
억만금을 가지고 있어도 의미가없다.
최고의 병실에서 식물인간으로
누워있는 ‘이건희’를 생각하면 답은 절로 나온다.
그 많은 재산이 무슨 소용이 있는가?
건강하면, 노년생활도 얼마든지 즐겁고 보람 있게 지낼 수있다.
지금은 사람이 할 수있는 건
전한 일의 분야가 아주 크게 넓어진 세상이다.
건강만 있다면 그 모든 기회는 열려있는 셈이
다. 건강은 생활습관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하루세끼 더운밥 잘 먹고, 잠 잘 자고,
신진대사가 잘 되면 건강한 것이다.
건강식품이나 보약에 의지하면 안 된다.
다섯 번째가: ‘해외여행’ 이다.
지금은 나라밖으로 나가기가 쉽지만 지금의 노인들이 젊었을 땐
여권자체가 단수였다.
그만큼 해외에 나간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고 외화도 크게부족했다.
때문에 이들대부분은 충분한 해외여행을 못해본 세대이기도하다.
현역에서 은퇴하면 시간은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돈이 없으니 여행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후회하는 것이다.
여행은 젊었을 땐 먼 곳을 나이가 들어서는 국내를 다니는게 정석이다.
그러나 지금의 노인세대는 그 두 가지가 모두 여의치 않았다.
돈이 없었기 때문이다.
늙어서 후회하지 않으려면 젊었을 때 가급적 많은 곳을 다녀 봐야한다.
여행의 아름다운 추억은 아무리 반추해도 없어지지 않는 보물 같은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여행은 혼자나 부부가 하는 것이다.
낯선 나라에 가서 차를 빌려 타고 이곳저곳을 다녀보는
재미는 정말 각별한바가 있다.
모험심과 도전정신만 있다면 세상은 넓고 가볼 곳도 많다...
인간은 그게 누구든 늙게 마련이며 여기에는 예외가 없다.
지혜로운 사람은 그 노후를 잘준비할 것이고
어리석은 인간은 어영부영하다 돈 없는 늙은이로 전락하고 만다.
후회 없는 인생은 없다.
그러나 우리의 노력으로 그 후회할 일들을 줄일 수는 있다.
그것이 삶의 지혜가 아니겠는가??..
- 좋은 글 중에서 -
'삶 이야기(건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는게 다 그렇지★ (0) | 2018.12.21 |
---|---|
<착각> (0) | 2018.12.20 |
감사하는 인생 (0) | 2018.12.19 |
노년을 무엇으로 채워야 하나 (0) | 2018.12.19 |
등나무 (0) | 201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