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이야기(건강 등)

-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 < '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 >

kbd112 2021. 11. 3. 06:29

-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

 

어느 날 페르시아 왕이 신하들에게

 

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 

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

 

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

 

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

 

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 했다.

 

 

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 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 때면 그대 가슴에 대고 다만 말하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행운이 그대에게 미소 짓고 기쁨과 환희로 가득할 때 

 

근심 없는 날들이 스쳐갈 때면 세속적인 것들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이 진실을 조용히 가슴에 새겨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 '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 >

 

유대 문학 미드라쉬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느 날 다윗왕이 궁중의 한 보석 세공인을 불러 명령을 내렸습니다.

 

"나를 위하여 반지 하나를 만들되, 거기에 내가 매우 큰 승리를

거둬 그 기쁨을 억제하지 못할 때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를 새겨 넣어라.

 

그리고 동시에 그 글귀가 내가 절망에 빠져 있을 때는

내 용기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느니라."

 

보석 세공인은 명령대로 곧 매우 아름다운 반지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적당한 글귀가 생각나지 않아 걱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는 솔로몬 왕자를 찾아갔습니다.

그에게 도움을 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왕의 황홀한 기쁨을 절제해 주고, 동시에 그가 낙담했을 때

힘을 북돋워 드리기 위해서는 도대체 어떤 말을 써 넣어야 할까요?"

 

솔로몬이 대답했습니다.

 

"이런 말을 써 넣으시오.

'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

 

왕이 승리의 순간에 이것을 보면 곧 자만심이 가라앉게 될 것이고,

그가 낙심중에 그것을 보게 되면 이내 표정이 밝아질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도 중요한

지혜를 줍니다.

 

즉 모든 인생의 과정은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지혜로운 처신을 보장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은 다 순간이요, 곧 지나가 버리는 것임을 알 때,

우리는 성공이나 승리의 순간에도 지나치게 흥분하거나

교만해지지 않을 수 있고, 실패나 패배의 순간에도 지나치게

절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나친 행복이나 슬픔에 빠진 순간에

'이것 역시 지나가 버립니다' 라는 말을 생각하십시오.

멈추지 않고 흘러가는 인생의 나날을 지혜롭게 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 역시 지나가 버립니다.'

 

...